기제일 및 시간 > 자료실

본문 바로가기

회원메뉴

  • 개인결제
  • 장바구니
  • 주문/배송조회

기제일 및 시간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제사샵 작성일04-06-09 11:46 조회6,766회 댓글0건

본문

기제일 및 시간
 
 

  기제(忌祭)란 사람이 죽은날, 즉 기일(忌日)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.

  3년상을 치른 경우의 기일은 그 이후부터가 된다.

  기제의 봉제사 대상은 제주(祭主)를 기준으로 하여 4대, 즉 고조(高組)까지가 이상적 입니다.

  제주(祭主)는 고인의 장자(長者)나 장손(長孫)이 되며,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에는 차자(次子)나 차손(次孫)이 대행한다.

 

  .

  현대에는 거의 신주(神主)를 모시지 않으므로 지방(紙榜)으로 대신하거나 사진을 모시기도한다. 지방(紙榜)을 쓰고 돌아가신 분을 모실 준비가 되면 제사를 지내는데, 제사는 돌아가신 날 00시에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요즘은 형편에 따라서 돌아가신 당일 일몰 이후에 지내기도 한.

[기제일과 시간]

  예문에는 별세한 날 자시에 행사한다고 되어있다. 자정(12시) 부터 인시(5시)까지 날이 새기 전 새벽에 기제를 올리는 것이 예이다. 신도는 음이라 하여 늦밤 중에 활동을 하여 닭소리가 나기전에 돌아가야 한다는 말은 예문에 없는 미신적인 말이다.

  날이 바뀌는 첫 새벽 즉 궐명행사의 예문정신은 돌아가신 날이 되면 제일 먼저 고인의 제사부터 올리는 정신을 강조한데 있다고 본다. 그러나 오늘날과 같은 사회구조와 생활여건에서 볼 때 한 밤중 제사는 가족들이 핵가족화 되어서 분산거주하여 참석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음날 출근과 활동에는 지장이 많아진다.

  그래서 근래의 가정의례준칙을 보면 별세한 날 일몰 후 적당한 시간에 지내게 되어 있다. 이 시간이면 사업하는 분이나 회사에 근무하는 분이나 공무원이나 다 집에 돌아오는 시간이며 제관들이 모이기 좋은 시간이어서 도시에서는 저녁 7~8 경에 행사하는 집들도 많이 있다. 간혹 기제일을 잘못 알고 별세한 전일 저녁 7~8시경에 지내는 사람이 있는데 기제는 별세한 날에 지내는 제사이므로 별세한 전일에 지내는 것은 잘못이다.

또 축문에 보면 휘일부림(諱日復臨)이란 말이 있고, 이 뜻은 돌아가신날이 다시돌아오니라는 뜻이다.

댓글목록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
게시물 검색

ABOUT US

상호명. 천지문(제사홈쇼핑) 대표자. 박철현 주소.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삼북길 104 (감삼동)
사업자 등록번호. 486-36-00028 통신판매업신고번호. 2015-대구달서-0251
전화. 053-573-5600, 053-573-5500
개인정보관리책임자. 권귀화(jesa0909@hanmail.net)


CS CENTER

상담. AM09:00~PM06:00

BANK INFO